본문 바로가기

IT&TECH

삼성 디스플레이에 도전장 낸 중국,자체 OLED 생산 예정!

OLED, 최대 01.mm두께 제작 가능, 구부러지거나 접혀도 화면 출력 가능

삼성, 스마트폰용 중소형 OLED 95% 생산

2016년 삼성 아몰레드 물량부족으로 문제 발생

화웨이,오포,비보,OLED연맹 결성 자체OLED양산 목표 투자중

LG,폭스콘 OLED시장 참여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삼성에서 주력으로 제조하는 OLED, 그리고 그 외의 기업에서 제조 및 사용하는 LCD(IPS)인데요. 그중 OLED를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한때 OLED 물량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스마트폰 생산에 영향을 주는 일까지 비일비재했습니다.


스마트폰이 점점 경량화, 슬림화가 되면서 LCD/IPS보다 OLED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아지기 시작합니다.

삼성에서 주력으로 개발하는 OLED의 경우 일반 LCD보다는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나 IPS보다는 떨어지고, 전력 사용 역시 LCD보다 많이 사용합니다.

거기에 OLED의 경우 패널의 수명이 짧은 편이며 흰색 화면을 켰을 때 푸른빛으로 보이는 현상,오랫동안 한 화면을 켜놨을 때 그 화면 형태로 패널에 잔상이 생기는 ‘번인’현상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LED를 많은 스마트폰 회사에서 채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패널 두께를 굉장히 얇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OLED 의 경우 편광판의 생략이 가능하며 글라스 또한 얇은 물질로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0.1mm 두께로도 제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화면이 구부러지거나 접혀도 화면 출력이 가능하기에 삼성 갤럭시 시리즈에서 나오는 엣지화면, 그리고 최근 삼성에서 개발 중이라는 플렉시블 스마트폰(접는 스마트폰) 역시 구현이 가능합니다.


중국을 비롯한 다른 스마트폰 회사, 디스플레이 제조 회사들도 OLED 양산이 가능하지만 이제 막 제조에 뛰어든 수준이라 그 노하우는 많지 않고, 평면 OLED를 겨우겨우 만드는 데 그칠 정도지요.그러나 삼성의 경우 꾸준하게 OLED 제조 및 판매를 하면서 기술력을 쌓아왔기에 다른 회사에 비해 그 퀄리티와 기능은 가히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디스플레이 전문 평가 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는 삼성 갤럭시S7에 사용된 디스플레이를 가장 뛰어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로 평가했는데요.

특히 정확한 색 표현에 있어서 최고점을 받았습니다.

이 외에도 갤럭시S6더블엣지에서 세계 최초로 엣지화면을 선보인 바 있는 삼성은 이후 삼성 따라 하기에 나선 수많은 중국기업들에게 패널을 공급하기에 이릅니다.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중소형 OLED 패널의 95%는 삼성 제품인데요.

이 삼성 패널을 사용했다는 것만으로도 마케팅이 되기 때문에 각종 회사에서는 비싼 가격에, 원활하지 않은 공급물량에도 불구하고 삼성의 아몰레드(AMOLED)를 울며 겨자 먹기로 사용하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2016년 중반부터는 이 삼성 아몰레드의 물량 공급 부족으로 인해 여러 문제가 생깁니다.

중국의 오포는 스마트폰 판매 목표량을 1억대로 늘리고 삼성에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을 추가로 요청했으나,기존에 삼성에서는 갤럭시 시리즈용으로 2억 4천만 대, 그리고 그 외 중국기업 납품용으로 1억 대 만을 고려하고 생산하고 있었기에 오포의 추가 주문을 수용하지 못 했습니다.


거기에 이어서 중국의 플래그십 킬러 회사 ‘원플러스’ 역시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파격적인 가격에 출시했으나 삼성 아몰레드 패널 공급 문제로 인해 ‘원플러스3’의 경우 조기 판매 종료를 했다는 소식까지 들려왔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하반기부터는 중국 스마트폰 회사들이 협력관계를 구축해 본격적으로 OLED 양산 및 개발을 시작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당장 오포와 비보의 모회사 BBK(부부가오)에서는 OLED 패널 회사인 MGV라는 기업을 별도로 설립하고 국가와 지방정부의 투자 지원을 받아 1일 6만 개의 OLED 패널 생산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중국의 OLED 스타트업 기업 Royole도 ‘선전’이라는 곳에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1일 4만 5천 개 패널 생산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소식입니다.또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와 티안마도 OLED 공장을 새로 증설하고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빠르게는 2017년부터 본격적인 양산 생산이 시작되는 이 디스플레이는 현재 거의 독과점에 가까운 삼성 패널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의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키우며 동시에 스마트폰 생산비용의 절감, 해외 수출까지도 목표로 잡고 있기 때문에 삼성으로서는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 국내 기업인 LG, 대만의 폭스콘이 인수한 샤프, 일본의 재팬디스플레이 또한 엄청난 금액을 투자해 올해까지 OLED 생산 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연이어 발표함으로써 올해부터는 스마트폰 경쟁과 동시에 OLED 생산 또한 경쟁이 붙을 것으로 예상되네요.


그동안 LCD(IPS)를 사용하던 애플이 아이폰 8 시리즈부터는 OLED를 사용한다고 밝히고, 삼성이 애플과 납품계약을 맺음에 따라 올해부터는 OLED의 사용 비율이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따라서 여러 기업에서 이렇게 OLED 개발에 뛰어드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절차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삼성에서는 아직까지 자사의 기술력에 자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느긋한 모습이지만 스마트폰 시장도 무서운 속도로 중국에 따라잡힌 이상,OLED 시장 역시 방심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올해는 플렉시블 스마트폰(접는 스마트폰)까지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이 OLED 시장 또한 한바탕 전쟁터가 될 것 같습니다.


[출처]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316567&memberNo=28156090


OLED 시장에 대하여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옮긴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