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또 다른 생각들

일본의 중국보복대처법










중국의 한국 내 사드배치에 대한 보복이 한국 경제 전방위로 퍼지고 있다. 센카쿠 열도 영토분쟁으로 중국이 일본에 가했던 앙갚음과 비슷한 양상과 수순을 밟고 있다. 일본은 당시 '경험'을 토대로 상품 경쟁력 강화, 중국 의존도 분산 등 대중 무역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일본의 경우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012년 9월 중국과 일본의 센카쿠 열도 영토 분쟁 당시에도 중국 정부는 물론 국민들까지 들고 나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반일 감정이 영토분쟁을 덮치면서 무서운 속도로 일본에 대한 보복이 가해졌다. 중국 전역 80여개 도시에서 8만여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반일 시위를 벌였고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을 향한 폭력시위도 잇따랐다.


도요타 자동차 판매점, 파나소닉 공장 등이 파손되거나 방화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 한달만에 도요타의 중국 자동차 수출은 80%가 감소했고, 일본행 비행기 5만2000여석이 취소됐다. 당시 반일시위로 인한 일본 경제 피해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중국 내 반한 시위나 관제데모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도요타 자동차 판매점, 파나소닉 공장 등이 파손되거나 방화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 한달만에 도요타의 중국 자동차 수출은 80%가 감소했고, 일본행 비행기 5만2000여석이 취소됐다. 당시 반일시위로 인한 일본 경제 피해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중국 내 반한 시위나 관제데모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시 중국의 강경한 조치는 일본에 대한 경제 영향력이 급속도로 강화됐기 때문이다. 

2011년 일본의 대중 수출액 비중이 전체의 19.7%를 차지하는 등 중국 경제의 영향력이 점차 커져갔다. '우리가 압박을 가하면 일본 경제가 흔들린다'는 강한 자신감이 과격한 보복조치의 근거가 됐다.


2010년 일본이 중국 어선 선장을 나포돼 중일 영토분쟁으로 비화됐던 영토 분쟁 당시엔 더 가혹한 방법을 썼다.

 전세계에서 90%를 생산하는 희토류를 일본에 수출 금지한 것이다. 전자제품 생산 등에 꼭 필요한 광물자원인 희토류를 공급받지 못하자 일본은 백기를 들고 선장을 풀어줬다. 


이후 일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중국 공장도 동남아 지역으로 분산시켰다. 희토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희토류가 생산되는 인도 베트남 광산도 개척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중국 수출비중은 17.6%로 4년간 꾸준히 감소했다. 


한국은 아직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아 마땅한 대안이 없어 일본보다 더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 중국 수출 비중은 25.1%, 수입은 21.4%입니다. 전체 교역액은 줄었지만 비중은 꾸준히 20%를 상회하는 등 의존도가 높은 상황입니다.

지금 당장에는 마땅한 대안이 없지만 반드시 대중국 교역비중을 낮추어야 합니다. 이번 사태가 어찌어찌해서 잘 해결이 되더라도 저 속 좁은 짱깨들이 언젠가는 똑같은 짓거릴 또 할게 뻔하기 때문입니다.